-
일상 속에서 플라스틱을 멀리하는 건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일지도 모릅니다. 최근 다양한 연구들이 밝혀낸 바로는, 플라스틱 제품에 들어 있는 DEHP(다이에틸헥실 프탈레이트)와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두 물질이 결합했을 때 위험성은 더 커질 수 있다고 합니다.
DEHP란 무엇인가요?
DEHP는 PVC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프탈레이트 계열의 가소제입니다. 의료기기, 식품 포장재, 장난감, 바닥재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지만, 문제는 이 물질이 인체에 쉽게 흡수되어 호르몬 교란, 생식기능 저하, 심혈관계 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인 고위험 프탈레이트 6종
물질명 전체 명칭 주 용도 주요 유해성 규제 현황 DEHP Di(2-ethylhexyl) phthalate PVC, 의료기기, 장난감 생식독성, 심혈관계 질환 EU/미국/한국 제한 DBP Dibutyl phthalate 손톱 매니큐어, 접착제 내분비계 교란, 생식독성 EU 전면 금지 BBP Benzyl butyl phthalate 바닥재, 벽지 생식기능 저하, 태아 독성 어린이 제품 금지 DINP Diisononyl phthalate 플라스틱 완충재, 가정용품 간 독성, 호르몬 이상 EU 일부 사용 제한 DIDP Diisodecyl phthalate 전선 피복, 바닥재 신장 및 간 기능 이상 EU 제한 DNOP Di-n-octyl phthalate 방수재, 합성고무 성장지연, 간/신장 독성 일부 국가 사용 제한 특히 주의해야 할 이유
- 이들 대부분은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로 작용합니다.
- 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쳐 생식기형, 불임, 조기 사춘기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임산부, 유아, 어린이에게 더욱 치명적입니다.
- 장기적으로는 간 기능 저하, 암 발생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규제 참고 정보
- EU REACH 규제: DEHP, DBP, BBP, DIBP는 고위험 물질(SVHC)로 지정되어, 소비자용 제품 내 사용이 사실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 미국 CPSC: DEHP, DBP, BBP, DINP는 어린이 제품 내 사용 금지 대상으로 분류됩니다.
- 대한민국: 식약처와 환경부는 DEHP, DBP 등을 장난감, 식품용기, 의료기기 등에 제한하고 있습니다.
복합 노출 개념: DEHP + 미세플라스틱
DEHP는 지용성 화학물질로, 플라스틱 표면에 잘 흡착되며 미세플라스틱에 흡착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5mm 이하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바닷물·토양·음식물 등 다양한 환경에 존재합니다. 이들은 DEHP 같은 유해화학물질의 운반체(carrier) 역할을 하며, 체내 흡수율 증가, 세포 투과성 상승, 장벽 투과성 증가 등 복합적인 위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더 무서운 건 DEHP가 미세플라스틱에 흡착되어 몸속으로 함께 들어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조합은 단순한 합 이상의 독성을 보여주며, 실험 결과에서도 간 기능 저하, DNA 손상, 염증 반응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주요 연구 사례
- Chen et al., 2022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실험 대상: 생쥐
- 조건: 미세플라스틱 단독, DEHP 단독, 두 물질 동시 노출
- 결과: 복합 노출 시 간독성, 산화 스트레스, DNA 손상 정도가 개별 노출보다 훨씬 심각
- 시사점: 간 기능 저하 및 염증 유전자 발현 증가
- Li et al., 2021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대상: 제브라피쉬(zebrafish) 배아
- 결과: DEHP가 흡착된 미세플라스틱이 수정률 저하, 기형 발생, 신경세포 발달 장애 유발
- 특이점: 미세플라스틱이 DEHP의 세포 침투 효율을 증가시킴
- Wu et al., 2023 (Environmental Pollution)
- 내용: 인간 장내세포(Caco-2 cell line)에 미세플라스틱+DEHP 노출
- 결과: 장 점막 손상, tight junction 붕괴, 염증 반응 유도
- 의의: 장내 환경 교란 및 전신 독성 가능성 확인
생물체 내 작용 기전 (Mechanism)
- 미세플라스틱: 소화기관을 통해 흡수 → 물리적 손상, 산화 스트레스 유발
- DEHP: 지용성 → 지방 조직에 축적, 내분비계 교란
- 복합 작용:
- 미세플라스틱이 DEHP의 흡수와 생물학적 이용률을 증가시킴
- DEHP가 미세플라스틱의 면역 반응 유도 효과를 증폭
- 장내 미생물총(Gut Microbiota) 교란 → 대사질환, 비만, 염증질환 유도
인간 건강에 대한 잠재적 영향
구분 가능성 있는 영향 복합 노출 시 우려 소화기계 장 점막 손상, 흡수율 증가 누적 흡수량 증가 생식계 정자 수 감소, 호르몬 교란 불임 가능성 상승 신경계 인지기능 저하 가능성 신경 독성 상승 면역계 면역력 저하 자가면역 반응 가능성 증가 DEHP와 미세플라스틱의 복합 노출을 줄이기 위한 생활 속 실천
-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 사용 금지
- ‘프탈레이트 프리’ 제품 확인
- 식기류는 유리·스테인리스 소재로 교체
- 의료기기나 수액 사용 시 DEHP-free 여부 확인
- 생수병 오래 보관하거나 뜨거운 물 담지 않기
작은 실천이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오늘부터 플라스틱 사용 습관을 다시 돌아보는 건 어떨까요?지구의 날, 제로 웨이스트로 지구를 지키는 작은 실천
4월 22일, 단 하루라도 지구를 진심으로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우리는 매일 커피를 테이크아웃하고, 온라인 쇼핑으로 포장이 산더미처럼 쌓이는 생활을 반복합니다. 바쁘다는 이유로 환경을
life.calm-lake.co.kr
FAQ
- Q. DEHP 외에도 주의해야 할 프탈레이트는 어떤 게 있나요?
DBP, BBP, DINP, DIDP 등도 고위험군에 속하며, 대부분 생식기능 저하나 간·신장 독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Q. DEHP와 미세플라스틱은 음식에서 함께 나올 수 있나요?
예, 플라스틱 포장 식품에서 DEHP가 용출되고, 동시에 미세플라스틱도 검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Q. DEHP는 가열 시 더 위험한가요?
예, 전자레인지나 열에 노출되면 DEHP가 더 쉽게 용출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Q. 복합 노출은 어떤 사람에게 더 위험할까요?
임산부, 영유아, 어린이에게 특히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Q. 미세플라스틱과 DEHP에 동시에 노출되면 몸에 어떤 일이 생기나요?
장 점막 손상, 염증 유발, 간 기능 저하, 호르몬 교란 등 복합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